
MSA 아키텍쳐에서 KAFKA 를 많이 쓰는 이유
(이유)
MSA 는 마이크로 서비스간 분리가 되어 있어 각 서비스간 통신이 불가능
MSA 서비스간 통신을 위한 방법 2가지
1.Restful API (Feign Client) : 통신을 위한 API를 계속 만들어야 함, 이는 개발 리소스적으로나 통신을 위해 새로운 API 를 만드는 것이 비효율적
2.Message Queue : 프로세스 또는 프로그램 인스턴스가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때 사용하는 통신 방법. 더 큰 의미로는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를 구현한 시스템을 의미
이를 통해서 시스템 간 호출이 많은 MSA 에서 서비스간 결합도를 낮춤
Queue라는 임시저장소가 있어 비동기로 메시지를 전달 가능
참고 (아래 3개보고 작성하면 된다.)
https://velog.io/@devty/%EC%97%89%EA%B8%88%EC%97%89%EA%B8%88-Kafka-%EB%8F%84%EC%9E%85%EA%B8%B0
커넥트 내용
https://team-platform.tistory.com/11
Zookeeper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핵심적인 기술이다. 그리고 분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의 메타 데이터와 상태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해주는 분산 코디네이터이다.
공부를 하며 작성한 자료입니다. 틀린 내용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afka > Kaf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 명령어 정리 (0) | 2023.11.23 |
---|---|
Kafka 윈도우 실행 (1) | 2023.11.11 |
kafka 설치 (0) |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