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2 7. 사과나무 (다이아몬드 ) [문제설명] 구현문제 for문의 구간 활용 [문제 사과나무 (다이아몬드)] 현수의 농장은 N*N 격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격자안에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가 심어져있다. N의 크기는 항상 홀수있다. 가을이 되어 사과를 수확해야 하는데 현수는 격자판 안의 사과를 수확할 때 다이아몬드 모양의 격자판만 수확하고 나머지 격자 안의 사과는 새들을 위해서 남겨놓는다. 만약 N이 5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진한 부분의 사과를 수확한다. 10 13 10 12 15 12 39 30 23 11 11 25 50 53 15 19 27 29 37 27 19 13 30 13 19 현수가 수확하는 사과의 총 개수를 출력하세요 -입력설명 첫 줄에 자연수 N(홀수)이 주어진다. (3 2023. 5. 10. 6. 격자판 최대합 문제설명 n에 따라 받아야하는 입력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를 어떻게 받아야할지 모르겠다. (n을 읽고 2차원 리스트를 만들어야하는 거잖아) 2차원 리스트화 a=[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 한줄 mapping으로 읽어서 리스트화를 n번한다. import sys sys.stdin=open("input.txt", "r") n=int(input()) a=[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 한줄 읽어서 리스트화를 n번 for x in a: print(x) [문제 수들의 합] 5*5 격자판에 아래와 같이 숫자가 적혀있습니다. N*N 격자판이 주어지면 각 행의 합, 각 열의 합, 두 대각선의.. 2023. 5. 10. 5. 수들의 합 문제설명 아이디어가 중요한 문제 *본 문제는 인프런 김태원 강사님의 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강의에 기반합니다. [문제 수들의 합] N개의 수로 된 수열 A[1], A[2],...,A[N]이 있다. 이 수열의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의 합 A[i]+A[i+1]+...+A[j-1]+A[j]가 되는 M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설명 첫째 줄에 N (1 2023. 5. 9. 4. 두 리스트 합치기 문제 설명 n번의 비교만으로 풀어낼 수 있는 방법이 있는 문제였다.(방법 까다롭다.) sort 정렬 사용하면 8log8 이다.(nlogn) *본 문제는 인프런 김태원 강사님의 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강의에 기반합니다. [문제 두 리스트 합치기 ] 오름차순으로 정렬이 된 두 리스트가 주어지면 두 리스를 오름차순으로 합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입력설명 첫번째 줄 세번째 줄에 각 리스트의 크기가 주어집니다. 두 번째 줄, 네번째 줄에는 리스트 크기만틈의 원소가 오름차순으로 주어집니다. -출력설명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를 출력합니다. -입력예제1 3 1 3 5 5 2 3 6 7 9 -출력예제1 1 2 3 3 5 6 7 9 풀이 두개의 리스트를 리스트로 받아서 더하기로 합쳐서 sort 로 호출하.. 2023. 5. 9.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51 다음